스포츠월드

검색
수도권과 지방 주택 공급 양극화로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심화하는 가운데 주택 공급 지표가 일제히 하락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의 모습. 뉴시스 

 주택시장 상황이 악화일로다.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심화하는 가운데 주택 공급 지표가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 규모는 11년 11개월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공급절벽 현실화... 인허가·착공·분양 트리플 마이너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5월 주택 공급 지표는 일제히 꺾였다.

 

 주택 인허가는 2만424가구로 지난해 동기보다 13.1% 줄었다. 무엇보다 지방(-14.6%)의 인허가 감소 폭이 수도권(-10.8%)보다 컸다. 착공은 1만521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3% 줄었다. 역시 수도권(-9.3%)보다 지방(-16.5%)의 착공 감소 폭이 크다. 반면 서울의 5월 착공(3692가구)은 지난해 동기보다 58.7% 늘었다.

 

 분양(1만1297가구) 역시 전월보다 44.1%,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44.0% 줄었다. 인천에서는 지난 1월에 이어 5월 분양 물량도 제로(0)였다. 준공(입주)은 2만6357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5% 감소했다. 수도권 준공이 22.4% 늘었으나 지방에서 36.9% 감소했다.

 

 공급 부족 우려는 새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감 등과 함께 서울 집값을 끌어올리는 요소로 꼽힌다. 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넷째 주 서울 집값이 1주 전보다 0.43% 오르며 다시 6년9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에 정부는 서울집값과 가계부채를 잡고자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이라는 초강수를 던졌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이르면 다음 달쯤 첫 부동산 공급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정부는 부동산 불로소득 차단과 개발이익 환수를 강하게 주장해온 이상경 도시계획조경학부 교수를 최근 국토교통부 1차관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불꺼진 새집 계속 늘어난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지방을 중심으로 계속 쌓이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013가구로 전월보다 2.2%(591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6월(2만7194가구) 이후 11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악성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2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일반 미분양 주택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달 6만6678가구를 기록해 전월보다 1.6%(1115가구) 줄었다. 특히 악성 미분양의 83%(2만2397가구)는 지방에 몰려 있다. 대구가 3844가구로 가장 많다. 5월에는 전북(312가구)에서 악성 미분양이 대거 신규로 발생했다.

 

 지방 악성 미분양 적체는 심각한 수준이다. 악성 미분양이 늘면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 악성 미분양 주택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올해 초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미분양 주택을 직접 사들이기로 결정했지만, 역부족이란 평가가 나온다. 건설업계는 현재 정부가 시행 중인 미분양 주택 매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지방 미분양 취득세 50% 경감, 5년간 양도세 전액 감면, 미분양 아파트 매입 규모와 면적 확대 및 매입 가격 현실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지방은 악성 미분양까지 겹쳐 새로운 주택 건설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방 악성 미분양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